▣ 제품, 반제품, 주재료
1. 제품 (Finished Product):
- 최종적으로 완성되어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시장에 출시되는 완제품을 의미합니다.
- 예: 스마트폰, 자동차, 완성된 의류 등.
- BOM에서는 최상위 항목으로, 모든 하위 구성 요소(반제품, 주재료 등)가 조합되어 완성된 결과물입니다.
2. 반제품 (Semi-Finished Product):
- 제조 과정에서 중간 단계의 제품으로,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 추가 가공이나 조립이 필요한 자재입니다.
- 독립적으로 완성된 형태일 수 있지만, 최종 제품으로 사용되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 예: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모듈, 자동차의 엔진 조립체 등.
- BOM에서는 중간 레벨 항목으로 나타납니다.
3. 주재료 (Raw Material):
- 제조 과정의 가장 기본적인 원자재로, 반제품이나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 투입되는 초기 재료입니다.
- 가공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최소한의 가공만 거친 상태입니다.
- 예: 철광석, 플라스틱 펠릿, 원단, 전자 부품의 칩 등.
- BOM에서는 최하위 레벨 항목으로, 반제품이나 제품의 구성 요소로 사용됩니다.
▣ 제품, 반제품, 주재료 BOM에서의 관계
- BOM은 계층 구조로 구성되며, 주재료가 가공되어 반제품이 되고, 여러 반제품과 주재료가 조립되어 최종 제품이 완성됩니다.
- 예: 스마트폰 BOM
- 제품: 완성된 스마트폰
- 반제품: 디스플레이 모듈, 배터리 팩, 메인보드
- 주재료: 칩셋, 유리, 플라스틱 케이스 재료
▣ BOM 정전개와 역전개
BOM(Bill of Materials, 자재명세서)에서 정전개와 역전개는 자재 구성과 필요량을 분석하거나 관리하는 방식으로, 제조 및 생산 계획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각각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전개 (Forward Explosion):
1) 정의: 최종 완제품(제품)에서 시작하여 하위 구성 요소인 반제품과 주재료로 내려가면서 BOM을 계층적으로 분해하는 방식입니다.
2) 목적: 완제품 하나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자재(반제품, 주재료)의 종류와 수량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3) 과정:
- BOM의 최상위 항목(완제품)을 기준으로 시작.
- 각 하위 레벨(반제품, 주재료)로 분해하여 필요한 자재 목록과 수량을 계산.
- 예: 스마트폰 1대를 만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1개, 배터리 1개, 칩셋 2개 등이 필요하다는 식으로 분석.
4) 사용 사례:
- 생산 계획 수립: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소요량 계산.
- 재고 관리: 필요한 주재료와 반제품의 재고를 확인하고 부족분을 조달.
- 원가 계산: 자재별 비용을 합산하여 완제품의 총 원가를 산출.
5) 특징: "Top-Down" 접근 방식으로, 완제품에서 세부 자재로 점진적으로 확장(explosion)됩니다.
[ERP 물류 실기] 요약정리 (생산모듈 기초정보관리)
BOM 등록- 특정 제품이 어떠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메뉴 →모품목을 만들...
blog.naver.com
2. 역전개 (Backward Explosion 또는 Implosion):
1) 정의: 특정 자재(주재료 또는 반제품)에서 시작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위 반제품이나 최종 완제품으로 올라가면서 BOM을 추적하는 방식입니다.
2) 목적: 특정 자재가 어떤 완제품이나 반제품에 사용되는지, 그리고 그 사용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3) 과정:
- BOM의 최하위 항목(주재료 또는 반제품)을 기준으로 시작.
- 해당 자재가 포함된 상위 반제품, 최종 완제품을 역으로 추적.
- 예: 특정 칩셋이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의 어떤 완제품에 사용되는지 확인.
4) 사용 사례:
- 자재 사용처 분석: 특정 자재의 수요를 예측하거나 재고 활용 방안을 모색.
- 품질 관리: 불량 자재가 포함된 완제품을 추적하여 리콜이나 수정 작업을 수행.
- 설계 변경 관리: 자재 변경이 어떤 완제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
5) 특징: "Bottom-Up" 접근 방식으로, 자재에서 상위 제품으로 수렴(implosion)됩니다.
▣ 정전개 (Forward Explosion) / 역전개 (Backward Explosion 또는 Implosion) 비교 예시
1. 정전개: 스마트폰 1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재를 계산.
- 스마트폰 → 디스플레이(1개), 배터리(1개), 칩셋(2개) 등으로 분해.
- 완제품에서 자재로 내려가며 소요량을 계산(Top-Down, 생산 계획 중심)
2. 역전개: 특정 칩셋이 어떤 제품에 사용되는지 확인.
- 칩셋 →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에 사용됨을 역추적.
- 자재에서 완제품으로 올라가며 사용처를 추적(Bottom-Up, 자재 관리 중심).
" 정전개 (Forward Explosion) / 역전개 (Backward Explosion 또는 Implosion) 둘 다 BOM의 계층 구조를 활용하며,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자재 관리를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자재 마스터 데이터(Material Master Data)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에서 자재 마스터(Material Master)는 자재(주재료, 반제품, 완제품 등)에 대한 모든 핵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준정보입니다. 자재 마스터는 ERP의 다양한 모듈(구매, 생산, 재고, 판매, 회계 등)에서 자재 관련 업무를 일관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반입니다. 이는 주재료의 속성과 사용 방식을 정의하는 정보로, BOM(Bill of Materials) 및 생산 프로세스와 밀접하게 연계됩니다.
1. 자재 마스터(Material Master) 정의
- 자재(주재료, 반제품, 완제품) 마스터는 각 자재에 대해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고, 그 자재의 속성, 사용 방식, 관리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의한 데이터 집합입니다.
- 모든 자재( 주재료, 반제품, 완제품)를 포함하며, BOM(Bill of Materials) 및 생산, 재고, 구매 프로세스와 연계됩니다.
2. 자재 마스터의 주요 구성 요소
기본 정보
- 자재 코드 (Material Code): 자재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예: RM-001, FG-123).
- 자재 명 (Material Name): 자재의 공식 명칭(예: "스테인리스 강판", "스마트폰 칩셋").
- 자재 유형 (Material Type): 주재료(Raw Material), 반제품(Semi-Finished), 완제품(Finished Goods), 부속품 등.
- 설명 (Description): 자재의 간략한 설명이나 특징.
단위 정보
- 기본 단위 (Base Unit of Measure): 자재의 측정 단위(예: kg, 개, 미터).
- 대체 단위 (Alternative Unit): 필요 시 다른 단위로 변환 가능(예: 1톤 = 1000kg).
구매 정보
- 공급업체 (Supplier):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 목록.
- 리드타임 (Lead Time): 자재 조달에 걸리는 시간.
- 구매 단가 (Purchase Price): 자재의 표준 구매 비용.
- 구매 그룹 (Purchasing Group): 구매를 담당하는 부서 또는 팀.
재고 관리 정보
- 재고 위치 (Storage Location): 자재가 저장되는 창고나 위치.
- 안전 재고 (Safety Stock): 부족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 재고량.
- 최소/최대 재고 (Min/Max Stock): 재고 관리 기준.
- LOT/배치 관리 (Lot/Batch Control): 자재의 로트 번호나 배치 추적 여부.
생산 정보
- BOM 연계: 자재가 어떤 제품의 BOM에 포함되는지, 사용 수량(예: 제품 1개당 2개 필요).
- 작업 경로 (Routing): 자재가 생산 공정에서 어떤 경로를 거치는지.
- 생산 유형: 자재가 내부 생산인지, 외주 가공인지.
품질 관리 정보
- 검사 기준 (Inspection Criteria): 자재의 품질 검사 항목 및 표준.
- 인증 정보: 자재가 준수해야 하는 규격(예: ISO, RoHS).
회계 정보
- 표준 원가 (Standard Cost): 자재의 기준 원가.
- 계정 분류 (Account Assignment): 자재 관련 비용이 기록되는 회계 계정.
- 세금 코드 (Tax Code): 자재 구매 시 적용되는 세율.
물리적 속성
- 규격/사양 (Specifications): 크기, 무게, 재질, 색상 등.
- 유효 기간 (Shelf Life): 자재의 사용 가능 기간(특히 화학물질, 식품 등).
상태 정보
- 활성/비활성 (Active/Inactive): 자재가 현재 사용 중인지, 폐기되었는지.
- 대체 자재 (Alternative Material): 동일 기능을 하는 다른 자재 정보.
3. 자재 마스터의 역할
자재 마스터는 ERP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 데이터 일관성 유지: 모든 부서가 동일한 자재 정보를 공유하여 오류와 중복을 방지.
- 프로세스 자동화: 구매, 생산, 재고 관리 등에서 자재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워크플로우 실행.
- 소요량 계획(MRP): 자재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해 자재 소요량을 예측하고 조달 계획 수립.
- 원가 관리: 자재의 단가와 사용량을 기반으로 정확한 원가 계산.
- 추적성 확보: LOT/배치 관리로 자재의 이력을 추적하여 품질 문제나 리콜 시 대응 가능.
- 의사결정 지원: 자재의 재고 상태, 조달 리드타임, 비용 등을 분석하여 전략적 의사결정 지원.
4. 관리(활용) 예시
시나리오: 제조 기업에서 "알루미늄 판"이라는 주재료 관리.
1) 자재 마스터 설정:
- 자재 코드: RM-ALU-001
- 자재 명: 알루미늄 판
- 자재 유형: 주재료
- 단위: kg
- 규격: 두께 2mm, 크기 1m x 1m
- 공급업체: XYZ 금속, 리드타임: 5일, 단가: $3/kg
- BOM: 자동차 도어 1개당 10kg 사용
- 재고: 안전 재고 500kg, 저장 위치: 창고 B
2) 활용:
- 생산 계획: 자동차 도어 100개 생산 시 알루미늄 판 1,000kg 필요.
- 구매: 재고 300kg일 경우, 700kg 추가 구매 주문.
- 원가 계산: 알루미늄 판 비용($3,000)을 제품 원가에 반영.
5. 중요성
정확성: 자재 마스터 데이터가 부정확하면 재고 불일치, 생산 지연, 원가 오류 등이 발생.
통합성: 구매, 생산, 재고, 회계 등 모든 ERP 모듈이 자재 마스터를 참조하므로 데이터 통합의 핵심.
효율성: 잘 관리된 자재 마스터는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수작업을 줄여 운영 효율성을 높임.
6. 주의점
데이터 유지보수: 신규 자재 추가, 기존 자재 변경, 폐기 시 자재 마스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야 함.
중복 방지: 동일 자재에 대해 여러 코드가 생성되지 않도록 관리.
접근 제어: 자재 마스터 수정 권한을 제한하여 데이터 무결성 유지.

'Creo Reference Room > Assemb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y Geometry Feature (0) | 2025.03.27 |
---|---|
설계의도 : 퍼블리시 지오메트리 Feature (0) | 2025.03.24 |
설계의도 : skeleton Part (0) | 2025.03.23 |
Select Related Tree (0) | 2025.02.12 |
모듈, 부품 Replace (0) | 2024.10.16 |